육아

아이가 갑자기 경련 일으킨다면.."일단 부모가 침착해야"

영구우 2013. 8. 27. 08:17

출처: http://media.daum.net/life/living/special/newsview?newsId=20130823133907177

 

아이가 아프면 부모는 상황 판단이 흐려지기 마련이다. 아무리 각종 서적을 읽고 기사를 통해 정보를 얻어도 그 상황에 맞닥뜨리면 머리가 새하얗게 되는 것만 같다. 특히 영아를 둔 부모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아이가 갑자기 호흡이 멈춘다거나 장난감을 삼킨 경우, 잘 놀다가 발작을 일으킨다면 어찌할 바를 모른다. 이때 전문가들은 먼저 부모가 침착하게 아이를 안심시킨 다음 전문의료기관 및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생후 6개월~3세사이에 흔히 나타나는 호흡정지발작

호흡정지발작은 아이가 머리를 부딪치거나 넘어지거나 갑자기 놀랐을 때 호흡을 멈추고 심한 경우 의식을 잃기도 하는 증상이다. 호흡을 멈추다 보니 혈중 산소농도가 떨어져 얼굴색이 파랗게 변하거나 창백해지는 경우도 있다.

생후 6개월~3세의 아이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데, 위험한 물건을 쥐고 있어서 빼앗았다든지, 하고 싶어 하는 일을 하지 못하게 했을 때 기절을 해버리는 등의 행동을 보인다. 이 시기의 아이는 자신을 통제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기 뜻대로 못하면 큰 좌절감이 생기고, 이 좌절감과 분노가 기절의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한림대의료원 제공.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는 "호흡정지발작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고 대부분은 장애가 남지 않는다"며 "만약의 경우 이런 발작이 반복적으로 일어날 경우 심장 이상의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전문의의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장난감이나 동전 삼키면 기도폐쇄 위험, 응급처치법 숙지

기도폐쇄는 음식물이나 장난감, 동전 등 이물질이 아이의 기도를 막아 숨을 쉬지 못하는 상황이다.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고 쌕쌕대는 소리가 나며 혈액에 산소 공급이 되지 않아 얼굴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이 나타난다. 신속히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지만 입 안으로 손가락을 넣어 빼내려고 하면 오히려 막혀 있던 이물질을 기도 깊숙이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기침을 유발시키는 방법이 좋다.

만 1세 이상 유아의 경우 하임리히법(복부밀쳐올리기)을 빨리 시행해야 한다. 등 뒤쪽에서 아이 다리를 약간 벌리게 한 뒤 복부 중앙 부위에 오른손 주먹을 대고 왼손으로 그 위를 세차게 밀쳐 올려 준다.

만 1세 이하 영아는 등두드리기 흉부 밀어내기법을 시행한다. 한 손에 복부를 받쳐 안아 올리고 다른 손으로 등을 밀쳐 올리듯 압박한다. 얼굴을 위로 향하도록 눕히고 검지와 중지를 모아 명치 바로 위쪽을 연속해서 압박한다. 복부 내 장기에 힘을 가해 횡격막이 기관을 압박하게 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기침을 유발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도폐쇄가 지속되면 주요 장기가 손상돼 생명이 위험하거나 회복되더라고 치명적인 휴우증을 남길 수 있다. 아이가 갑자기 기침을 심하게 하거나 숨을 쉬지 못하면 이물질이 들어갔음을 의심하고 곧바로 응급처치를 수행하면서 가능한 빨리 응급실로 옮겨야 한다.

무엇보다 누워 지내는 시간이 대부분인 한 돌 이전의 영아는 구토를 할 때 기도를 막지 않도록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고 활동이 많은 2~4세 유아들은 평소 구슬, 바둑알, 동전 등을 입에 넣지 못하도록 주의시켜야 한다.

소아경련발작 1/3은 뇌전증, 스스로 완치되기도 하고 약물로 치료돼

소아 뇌전증은 간질성 발작이 소아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소아 간질이라고도 불린다. 짧은 시간 동안 의식을 잃고 멍한 상태가 되거나 몸의 일부가 떨리고 신체 일부분에 감각 이상이 오기도 한다. 또 구토를 하거나 땀을 흘리며 감각, 운동, 자율신경, 정신적으로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아이가 발작을 일으킨다고 해서 무조건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아이들의 뇌는 발열, 감염 등의 자극에 취약하기 때문에 성인보다 발작을 잘 일으킨다.

김성구 교수는 "모든 발작이 병은 아니며 소아시기에 나타나는 발작 중 1/3만이 뇌전증"이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스스로 완치되는 경우도 있고 또 처음 진단 받은 소아 환자의 70~80%가 약물치료로 쉽게 치료되기 때문에 아이가 어떤 증상을 보였는지에 대해 의사에게 최대한 자세하게 알리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감기와 열로 인해 생기는 열성경련

열성경련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경련성 질환으로 주로 3개월에서 5세 사이에서 열과 동반돼 발생한다. 대개 감기나 기타 열이 나는 병에 걸려 열이 많이 날 때 뇌에 다른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고열 때문에 경련을 일으킨다. 열성경련은 열이 많이 나거나 갑자기 오른 상태에서 아기가 의식이 없어지면서 눈이 돌아가고 손발을 약간씩 떨면서 뻣뻣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는 급하게 서두를 필요가 없다. 대부분 경련은 5분 안에 끝나고 열성경련의 예후는 매우 좋기 때문이다. 아이가 열이 너무 심할 때는 좌약을 넣어주거나 시원한 물로 닦아주어 열을 떨어뜨리는 것이 좋으며 의식이 없을 때는 아무 것도 먹이지 말고 좌약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급한 마음에 들고 뛰다가 아이를 떨어뜨린다든지 이빨을 벌려 숨 쉬게 하려다 이빨이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손을 따는 것은 전혀 도움이 안 된다. 경련 중 토하는 경우도 있고 가래나 분비물이 생겨 기도에 흡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그때는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옆으로 뉘어 관찰하면 된다.

단, 경련 시간이 15분 이상 지속되고, 하루에 2번 이상 발생하거나, 경련이후 깨어나도 엄마 아빠를 몰라보거나 성격이 바뀌거나 평소와 다른 행동을 하는 등 의식장애가 있으면 즉시 가까운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하여 진찰을 받도록 한다. 이런 경우는 열성경련이 아니라 뇌염이나 수막염 등에 의한 경련 가능성이 크므로 빠른 검사와 치료가 요구된다.

김성구 교수는 "어린 아이에게 손상이 발생한 경우 부모는 침착함을 유지하고 최대한 아이를 안심시킨 다음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상황 파악 후 1339나 119에 연락해 응급처치 상담을 받은 후 필요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헬스경향 이보람 기자 boram@k-health.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