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이 어떻게 되시죠?”
재무상담을 하다보면 늘 하는 질문입니다.
재밌는 것은 월소득을 당연히 알고 있을 것 같지만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소득을 알고 계시다구요?
그럼 질문을 다시 하겠습니다.
연봉이나 월평균 소득 말고 1월부터 12월까지 한 달 한 달의 정확한 소득을 알고 계신가요?
대충말고 만원단위까지 정확히요.
주부님들은 잘 아시겠지만 한 달 생활비에서 10만원이 더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큽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소득을 대충 알고 계십니다.
소득을 모르는 4가지 이유
여기에는 4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월급을 현찰이 아닌 통장으로 바로 넣어준다.
- 과거에는 월급을 봉투에 담아서 줬었습니다. 그리고 봉투 앞면에는 얼마인지 적혀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통장으로 바로 넣어줍니다. 급여명세서도 그냥 회사 인트라넷 같은 곳에 올릴 뿐 한 사람 한 사람 친절하게 출력해서 주지 않습니다. 매달 자신의 급여를 확인하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확인하더라도 그냥 한 번 열어보고 끝입니다.
2. 급여체계가 복잡해졌습니다.
게다가 과거에는 일년 열두달 같은 급여를 주는 곳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각종 수당, 상여금, 보너스, 인센티브 등으로 인해서 자영업자가 아닌 직장인이라 하더라도 소득흐름이 복잡해졌습니다. 그러다보니 자신의 소득을 연봉협상 할 때나 연말정산 할 때나 되어야 파악합니다. 물론 이 때 파악하는 것은 월소득이 아닌 연소득입니다. 연봉 실수령액이 3000만원이라고 하면 매달 250만원씩 꼬박 꼬박 들어오는 것이 아니죠. 상여금이 몇 월에 들어오는지는 알아도 정확히 얼마가 들어오는지는 모릅니다.
3. 그런데 통장정리를 잘 안 한다.
- 과거에는 신용카드나 마이너스 통장이 없었기 때문에 늘 내가 가진 돈 범위 내에서 썼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늘 통장잔고를 확인하고 통장정리도 수시로 했습니다. 잔액이 얼마 남았는지 알아야 돈을 쓸 수가 있었으니깐요.
요즘은 통장정리하러가면 정리할게 워낙 많아서 아예 새통장을 줍니다.
4. 신용카드와 마이너스통장으로 인해 통장 잔액과 상관없이 돈을 쓴다.
- 가장 큰 문제입니다. 앞서 언급한대로 소득의 범위내에서 돈을 써야할 이유가 사라졌습니다. 신용카드 할부 긁고 결제금 모자라면 마이너스 통장에서 꺼내쓰면 그만입니다. 그래서 굳이 소득을 꼼꼼하게 파악할 이유 자체가 사라졌습니다. 당연히 통장 잔액도 신경 안 써도 되죠.
평달에는 “평달이라서 소득이 적게 들어왔어”라고 생각하고
상여달에는 “역시 난 이정도는 벌어야 돼” 라고 생각합니다.
자연히 평달에는 마이너스 생활을 당연시 여기고 상여달에나 되어야 마이너스가 안생깁니다. 평달에 계속 쌓인 마이너스는 연말에 인센티브 받아서 메꾸고 새해에 0부터 다시 시작하죠. 열심히 돈을 벌어도 돈이 안 모이는 이유입니다.
소득부터 정확하게 다시 파악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연봉말고 1월부터 12월까지의 정확한 소득말입니다.
소득을 파악해보자.
소득의 종류 - 기본급, 상여금, 수당, 인센티브, 아르바이트, 사업소득, 임대소득 등
·1. 작년 한 해의 급여명세서 또는 월급통장을 확인합니다.
2. 1월부터 12월까지의 정확한 소득을 기록합니다.
3. 월별 예산은 여기에 맞춰서 세워야합니다.
앞으로는 가계부를 쓰셔야 하니 한 달 한 달 소득을 정확히 파악하고 기록하셔야 합니다.
가계부는 정직한 걸 좋아라 합니다. ^^
자영업 하시는 분들의 경우 성수기와 비수기 소득의 차이가 큰 경우가 많습니다.
미리 어느달의 소득이 높고 낮은지 확인해서 올 한 해는 사업장의 현금흐름이 좋지 않더라도 가정의 현금흐름까지 안 좋아지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다음 가계부 수입항목
다음 가계부의 수입항목을 보시면 기본적으로 주수입과 부수입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주수입 항목은 각자 회사의 급여체계에 맞게 계정을 추가해서 관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급여 항목에는 기본급만 기입을 하고 상여나 인센티브 등은 별도 계정으로 기입을 해주세요.
맞벌이의 경우 부부의 소득을 따로 기록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수입 항목은 아무래도 많은 분들의 경우 기록할 일이 없을 것 같네요 ^^;
혹시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계정을 부수입에 추가해서 관리하시면 됩니다.
전월이월 항목은...
지난 달에 쓰고 남은 생활비를 이월해서 쓰는 경우 기록합니다.
이 부분도 많은 분들이 적자가계부로 인해 기록할 일이 없을까봐 안타깝네요 ^^;;;
하지만 꾸준히 기록해나간다면 곧 흑자가계부가 될거에요~
6개월 내 흑자가계부로 전환을 목표로 가계부 쓰기를 같이하시죠^^
그래서 남는 생활비를 저축을 할지, 아니면 다음달 생활비로 이월해서 쓸지 행복한 고민을 하게 되는 날, 어떻게 하는 것이 더 좋을지 질문 올려주세요 ^^
가계부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돈관리하고 싶으세요?
12시간에 끝내는 우리집 돈관리~!!! 이번주부터 시작됩니다.^^
(아래배너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실 수가 있습니다.)
출처: 다음>커뮤니티>배워봅시다
http://board.moneybook.daum.net/gaia/do/finance/wimyhow/read?bbsId=wimyhow&articleId=32&pageIndex=1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작정 따라하기]입문편6-가계부 결산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자 (0) | 2010.07.08 |
---|---|
[무작정 따라하기]입문편5-결산 없는 가계부는 또 하나의 영수증 (0) | 2010.07.08 |
[무작정 따라하기]입문편3-비정기지출을 알아야 새는 돈 막는다. (0) | 2010.07.08 |
[무작정 따라하기]입문편2-고정지출만 관리해도 62만원 절약한다. (0) | 2010.07.08 |
[무작정 따라하기]입문편1-가계부 쉽게 쓰는 3가지 방법 (0) | 201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