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

로컬 우분투에 Kubernetes 설치하는 절차

영구우 2025. 5. 8. 14:05


1. 사전 준비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2. Kubernetes 공식 GPG 키 추가
sudo curl -fsSLo /usr/share/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https://pkgs.k8s.io/core:/stable:/v1.30/deb/Release.key
(v1.30은 2025년 5월 현재 최신 LTS 버전)

3. Kubernetes apt repository 추가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kubernetes-archive-keyring.gpg] https://pkgs.k8s.io/core:/stable:/v1.30/deb/ /"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4. kubeadm, kubelet, kubectl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sudo apt-mark hold kubelet kubeadm kubectl
• kubeadm : 클러스터 설치 도구
• kubelet : 노드에서 Pod를 관리하는 서비스
• kubectl : Kubernetes 클러스터 제어하는 CLI

5. Kubernetes 초기화 (마스터 노드 세팅)
sudo kubeadm init --pod-network-cidr=10.244.0.0/16
--pod-network-cidr=10.244.0.0/16은 Flannel 같은 네트워크 플러그인 사용을 위해 추가
(나중에 네트워크 플러그인을 직접 설치할 예정)

초기화가 성공하면 kubeadm이 kubeconfig 세팅하는 명령어를 안내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6. Pod Network 플러그인 설치 (예: Flannel)
kubectl apply -f https://github.com/flannel-io/flannel/releases/latest/download/kube-flannel.yml

또는 다른 네트워크 플러그인(Calico 등)도 선택 가능.

설치 완료 후 점검
1. 노드 상태 확인
kubectl get nodes
=> Ready로 나오면 정상

2. 파드 상태 확인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 모든 파드가 Running 또는 Completed 상태면 OK.

참고
• 우분투 버전에 따라 cgroup driver를 Docker와 kubelet이 맞춰야 하는 경우도 있다. (systemd 또는 cgroupfs)
• 필수 포트 열기 설정은 로컬이면 신경 안써도 되고, 클라우드에서는 방화벽 관리 필요.

'ki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kafka minio  (1) 2025.05.08
jquery 파일 첨부 시 확장자, 용량 체크  (0) 2020.09.04
푸티 자동 로그인 방법  (0) 2019.03.04
이클립스 단축키, 기본셋팅  (0) 2018.11.15
카멜표기 변환( javascript )  (0) 2016.06.27